초등 수학 선행하면 안되는 이유 5가지

수학 선행하지 않는 학생들을 찾는 게 더욱 어려울 정도로 수학 선행학습이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습니다. 초등 수학 뿐만 아니라 유아 수학에서 그 현상이 두드러질 정도로 선행 학습의 연령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선행의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유아 편은 다음 기회에 다루기로 하고 오늘은 초등학생 때 수학 선행 학습을 하면 안되는 이유를 5가지로 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1.현재 수학적 사고력에 맞지 않은 높은 수준의 학습은 사고보다는 기억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 수박 겉핥기 식으로 공부할 가능성이 높고 기억 또는 암기에 의존하여 공부하게 된다.

2. 수업 시간에 아는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집중하지 못한다. 이는 잘 모르는 내용 또한 놓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수학 능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3. 수학적 성취감을 느끼지 못한다. 자신의 수준보다 어려운 내용을 계속 배우다보면 모르는 내용이 많아지는 느낌이 들고 구멍은 제대로 메워지지 않고 학습량만 많아질 수 있다. 이해도, 성취도와 상관없이 머릿 속에 여러 수학적 내용들이 섞여 있다.

4.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저하될 수 있다.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 중학교 내용을 선행 학습하고 있다고 하였을 때 친구들에게는 중학교 내용을 배우고 있다며 자랑할 수도 있지만 속으로는 5학년도 내용도 잘 모른다는 것을 본인이 가장 잘 안다. 심지어 4학년 때 내용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5.수학이라는 학문의 진정한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 수학은 계산만 하는 학문이 아니고 시험을 치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수학은 곧 논리이다. 논리적 사고를 하기 위해 수학을 배우는 것이고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집을 반복하여 풀고 기계적으로 학습하고 선행 학습에만 몰두하다 보면 수학에 대한 흥미는 떨어지고 고학년이 될수록 수학을 포기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